[2021년 하반기 채용공고] - https://www.catch.co.kr/NCS/RecruitInfoDetails/188682
※ 채용사이트 - https://hrdkorea.jobnlab.co.kr/
1. 모집단위 및 신청전형: 일반직 6급(고졸전형) 데이터분석
2. 전형일정: 8.20 필기 장소확인 -> 8.28 10:00 필기시험 -> 9.7 결과발표 -> 이후 면접 예정
3. 평가영역: 직업능력 20문항 + 한국사 20문항 + 데이터분석 40문항 (5지선다 객관식, 시험시간 80분)
☆ 데이터분석 = 조사방법론 + 통계학개론
4. 합격자 결정기준: 채용인원 2명인 경우 3배수, 총점의 60% 이상 득점자 중 가산점을 가산한 고득점 순으로 선발
※ 필기시험 응시기회는 지원서 불성실 작성자를 제외한 지원자 모두에게 부여 (서류전형 프리패스)
5. 데이터분석 서류 선발인원: 168명 - https://alio.go.kr/item/itemBoardB1020.do?seq=2021072802293624&disclosureNo=2021072802293624
[시험준비]
1. 배경지식
1) 직업능력: 올 여름 관련 강의 수강이력 있음 - https://www.airklass.com/k/CTRZ23W
2)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 취득(2018년), 이후 한국사 공부한적 없음
3) 데이터분석: 사회조사분석사 2급 취득(2019년 3회), 지방국립대 통계 전공학점 4.4/4.5 등
2. 직업능력 + 한국사: 봉투모의고사 6회분 중 1~3회차 풀기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1760592
3) 데이터분석: 사회조사분석사 2급 필기 2020년 기출 - https://www.comcbt.com/xe/s2
※ 왜 사회조사분석사2급 자격증으로 대비했는가?
(1) 시험범위 일치: 산인공 NCS의 조사방법론 + 통계학개론 = 사조사2급 필기시험의 조사방법론 + 사회통계
(2) 산인공 6급(고졸전형) + 사조사2급 누구나 응시가능 + 같은 시행처 = 문제 수준과 유형 역시 동일할 것으로 추론
4) 공부기간: 8.23~8.27 저녁, 하루에 2시간씩 진행 (월,화,수 직업능력+한국사 / 목,금 데이터분석)
[과목별 체감]
※ 문항순서: 직업능력 1~20번 -> 한국사 21~40번 -> 데이터분석 41~80번
※ 문제푸는 순서: 한국사 -> 데이터분석 -> 직업능력
※ 영역별 소요시간: 한국사 10분 -> 데이터분석 30분 -> 직업능력 1~15번 40분(시간부족)
1. 직업능력
1) 산인공에서 실제로 활용되는듯한 규정이 많이 나왔고, 이에 따른 문제해결능력과 자원관리능력 문제가 다수 출제
2) 문제지 가독성 매우 안 좋음 (문제가 길기도 한데 줄 간격이 상당히 좁아서 읽기 꽤 힘듦)
3) 제일 어려웠던 유형, 동점자 발생 시 직업능력 고득점자 우선으로 처리하는 조항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변별력을 둔 것으로 예상
2. 한국사
1) 직업능력 푸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한국사 푸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줄이는 데 목적을 둠
2) 예전 한능검 고급(현 심화) 수준과 비슷하다고 느낌
3) 점수 예상은 불가하나, 맞은 문항이 많다면 합격권 입성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기대
3. 데이터분석
1) 예상대로 사조사2급 수준의 문항이 출제
2) 사조사와 달리 계산기 지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계산문항에서 오랜 시간이 들 것으로 보인 문제는 과감히 포기
3) "우대사항 사조사2급 보유자" 항목을 필기시험 비중으로 대신하는 인상을 받음
[시험환경]
1. 기본적으로 자격증 시험과 거의 일치 : 입실 시 방역, 입실시간, 안내사항, 퇴실가능시간(시험시작 1/2 경과 이후) 등
2. 고사실 내에서 모두 같은 시험지를 보고 진행하는 차이는 존재
(기사시험 필기/필답형: 한 고사실 내에서 수험생마다 응시종목, 문제지유형이 다름)
3. 코로나 4단계로 인해 한 고사실에 최대 20명 수용 (감독위원 2명을 제외하고 수험생은 고사실 당 최대 18명)
※ 거리두기 4단계인데 시험을 진행하나요? - https://lbsdatastat.tistory.com/109
[전체후기]
1. 대졸자 기준으로 문제 난이도가 괴랄하진 않았으나, 직업능력 문제유형에 익숙하지 않아 시간은 예상 외로 크게 부족했음
2. 산인공 회사에 대해서 많이 알고, 한능검+사조사2급 보유한 경우 필기 시험에서 매우 유리하겠다 생각함
3. 잦은 자격증 시험경험 및 부족하지 않은 배경지식으로 인해 총점의 60% 이상은 받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 그러나 약 20:1에 달하는 경쟁률을 뚫는건 별개의 문제
※ 시험을 얼마나 자주 봤길래...?
- 올해에 자격증 시험만 6번 응시: 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실기, 데이터분석 전문가(ADP) 필기 두 번(1분기 불합격, 2분기 합격) -> 모두 합격하여 쌍기사 취득 후 ADP 실기시험 응시예정
- 2018년 한능검, 컴활1급 + 2019년 사조사2급 + 2020년 ADsP, SQLD 등 이외에도 다수의 응시경험 존재
체감결론: NCS 시험 = 자격증시험 + 상대평가
'취업다이어리 > 필기 & 면접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장학재단 IT 개발운영 채용형 인턴 필기시험 후기 [2022년도 상반기 : 2022.4.23] (2) | 2022.04.23 |
---|---|
SGI서울보증 1차 필기시험 후기 [2022년도 상반기 : 2022.4.9] (5) | 2022.04.11 |
신용보증기금 오픈채팅 채용설명회 Q&A [2022년 상반기 : 2022.03.31] (0) | 2022.03.31 |
신용보증기금 ICT·데이터 필기시험 후기 [2021년도 하반기 : 2021.10.16] (0) | 2021.10.16 |
신한카드 필기시험(인적성검사) 후기 [2021년 하반기 : 2021.09.25] (0) | 2021.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