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다이어리/토익 & 스피킹

계획보단 느리지만, 보다 전략적으로 <2022 토익공부 일대기 1부>

by 냉철하마 2022. 6. 29.
※ 토익공부 일대기 지난 이야기
프롤로그 - https://lbsdatastat.tistory.com/191
 

나는 왜 토익을 다시 공부하게 되었는가? <2022 토익공부 일대기 프롤로그>

※ 2020년 토익 후기 - https://lbsdatastat.tistory.com/190 토익 후기 : 565점에서 740점까지 (2020년) ※ 다음 글은 2020년 8월, 대학교 3학년 재학 중에 토익 시험을 응시하여 점수를 받은 후, 같은 학교 학생..

lbsdatastat.tistory.com

 

 

6월 20일 월요일부터 25일 토요일까지, 1주차 토익공부 현황에 대해 정리한 글입니다. 

 

계획 = 'ETS 단기공략 750+' 인터넷 강의의 절반 이수 + 하루에 VOCA DAY 하나씩

실행 = 위 강의의 1/3 분량 이수 + VOCA 공부 안한 날 존재

 

https://toeic.ybmclass.com/toeic/toeic_view.asp?product_idx=7797 

 

YBM 토익인강 공식사이트

[브랜드파워 15년 연속 1위] 토익 토익스피킹 공식주관사! 토익인강, 토익스피킹인강, 환급코스, ETS교재인강, 무한패스, 멘토패스

toeic.ybmclass.com

750+ 교재의 강의인 'ETS TOEIC® 단기 공략 750+ 강좌'를 선택하여 토익 공부에 대한 감각을 빠르게 잡고자 했습니다. 빠르면 2주 안에 완강을 하고, 바로 기출문제를 넘어가는 것이 목표였기에 총 30강 중 15개 강의를 들으려 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강의를 들을 때 러닝타임에 채우는 것에 급급하여 복습 없이 다음 챕터로 넘어갈 수는 노릇이기에 예상보다 천천히 학습을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사진 출처 : YBM 인강 클래스룸

1주차 동안 들은 강의의 분량은 위와 같습니다. 학습하기 버튼을 누를 때마다 수강체크 횟수가 올라가는 구조라 2~3회씩 체크가 되어 있는 강의가 있으나, 강의 듣는 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반복한 적은 없습니다. 즉, 수강체크 란에 표시된 누적 수강 분량이 강의 러닝타임과 거의 동일하며, 최소 30분에서 최대 100분까지 강의 분량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 계획 실행에 있어 큰 변수로 다가왔습니다.

 

그리고 LC와 RC를 번갈아서 진행하는 강의 구조로 이번 주에 15개 강의를 듣기 위해 하루 3개씩 듣는 전략을 취하려 했으나, 한 챕터 수강과 복습만 해도 생각보다 많은 에너지를 써야 했기에, 하루에 LC 하나 + RC 하나만 듣고 복습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거기에 강의를 수강하지 않은 날까지 있다보니 목표 학습진행률은 50%였지만 실제 진행률은 30%에 그치게 되었습니다. 

사진 출처 : ETS 단기공략 750+ 교재 (혹시 몰라서 문제와 필기내용 일부를 가렸습니다)

토익의 이론 감각을 빠르게 키우기 위해, 교재에 강의 내용을 그대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LC는 이대로 적응한 후에 기출문제 바로 들어가면 될 것으로 보였고, RC는 문법이랑 어휘 부분을 더 외울 시간을 같이 가지는 것이 좋겠다고 느꼈습니다. "다른 나라 언어를 배울 때, 싫어도 외워야 할 부분이 존재한다"라는 내용이 이번에 유독 와닿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었거든요.

 

이번 주 토익에 투자한 시간은 5일 동안 총 18시간(단기공략 16시간 + VOCA 2시간)입니다. 아예 공부를 안 했던 날도 있었고, 다른 날 중에서도 온전히 공부하지 않은 날이 있어서 한 주의 공부시간 치고는 너무나 부족한 시간대였습니다. 

이 부분에서 개선해야 겠다고 느낀 것은, 앞으로 공부 분량을 '하루 VOCA 2개씩 1시간 + 단기공략 강의 2개씩 듣고 복습'으로 고정해 두고, 월~토요일 내내 이를 실천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늦어도 3주차에는 단기공략 공부를 끝내고 기출문제를 반복할 수 있을 것이며, 문법과 어휘를 공부할 기간 역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다음 이야기 - 2부. 완강도, 복습도 중요하다 - https://lbsdatastat.tistory.com/193

 

댓글